티스토리 뷰
숨바꼭질 성공다국어
1697번: 숨바꼭질
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. 수빈이는 현재 점 N(0 ≤ N ≤ 100,000)에 있고, 동생은 점 K(0 ≤ K ≤ 100,000)에 있다.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. 만약, 수빈이의 위치가 X일
www.acmicpc.net
문제
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. 수빈이는 현재 점 N(0 ≤ N ≤ 100,000)에 있고, 동생은 점 K(0 ≤ K ≤ 100,000)에 있다.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. 만약,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-1 또는 X+1로 이동하게 된다.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1초 후에 2*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.
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,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. N과 K는 정수이다.
출력
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.

내 코드
import sy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bfs(start):
que=deque()
que.append(start)
while que:
x=que.popleft()
if x==b: #목적지에 도달했으면 stop하고 그 좌표의 값 return.
return count[x]
for nx in [x-1,x+1,2*x]:
if nx<0 or nx>limit-1: #좌표 범위 밖이면 불가.
continue
if count[nx]!=0: #방문한적 있으면 continue
continue
count[nx]=count[x]+1 #이동 전 놈의 값+1로 초기화.
que.append(nx)
#메인 코드 부분
a,b=map(int,sys.stdin.readline().split())
#a=0, b=10^5일때 최대 10^5까지 이동할 수 있으므로
#인덱스를 10^5까지 확보하기 위함.
limit=(10**5)+1
count=[]
for _ in range(limit): #count인덱스는 0~limit-1 까지 가능
count.append(0) #값이 0이라는 뜻 = 아직 방문 X
print(bfs(a))
풀이 및 접근)
- 미로에서 최단거리 찾는 문제와 비슷하다고 생각했다. 다만 조건에서 이동거리가 달랐으므로 이를 반영하면 되는 문제이다.
- for nx in [x-1, x+1, 2*x]에서 이동 가능한 거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.
- 포인트는, count[?] 값이 0이면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는 뜻이고, 0이 아닌 값이 있으면 방문하여서 그 값을 건들지 말아야 하는 값이다.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이동하기 전의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초기화 한다.
- 이 문제에서 또 중요한 점은, 인덱스의 범위를 정확하게 가져가는 것이다. 출발: 0 도착:100000일때, 최대 이동 거리는 걸어서만 가는 100000일 것이다. 그러면 100000으로 인덱스 접근이 가능해야 하므로 count의 원소 개수를 100000+1개로 한 것이다. 100000+1번째 값이 count[100000]이 될테니 말이다.
- 위를 잘 적용하지 않으면 런타임 에러가 발생한다.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1053: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- 파이썬 (0) | 2023.09.18 |
---|---|
백준 1463: 1로 만들기 - 파이썬 (0) | 2023.09.10 |
백준 10026: 적록색약 - 파이썬 (0) | 2023.09.04 |
백준 14502: 연구소 - 파이썬 (0) | 2023.08.30 |
백준 7576: 토마토 - 파이썬 (0) | 2023.08.29 |